코인뉴스
  • BTC

  • ETH

  • DASH

  • LTC

  • ETC

  • XRP

  • BCH

  • XMR

  • QTUM

  • ZEC

  • BTG

거래소 시세(KRW) 시세(USD) 거래량 24시간 변동(KRW) 한국 프리미엄(KRW)
빗썸 65,444,000 KRW 58,017.73 USD 0.00 BTC ▼ 1,651,000 -2.52% ▲ 3,757,466 5.74%
코빗 65,430,000 KRW 58,005.32 USD 204.11 BTC ▼ 1,822,500 -2.79% ▲ 3,743,466 5.72%
플로닉스 61,670,580 KRW 54,673 USD 930.45 BTC ▼ 3,446,266 -5.59%
비트렉스 61,662,233 KRW 54,665 USD 288.09 BTC ▼ 3,467,134 -5.62%
비트피넥스 61,689,192 KRW 54,689 USD 7,434.97 BTC ▼ 3,548,914 -5.75%

BIS “기존 금융권, 공룡 테크기업 진출에 단단히 대비해야”

곰탕재료푸우 0 0

BIS “기존 금융권, 공룡 테크기업 진출에 단단히 대비해야”


kGmn3x.jpg 



국제결제은행(BIS)이 2019년 연례 보고서를 발행했다. ‘중앙은행의 은행’으로도 불리는 BIS는 보고서에서 페이스북과 같은 대형 테크기업이 금융 업계에 진출하면서 진행될 급격한 변화에 우려를 나타냈다.


제목부터 “대형 테크기업들의 금융 진출: 기회와 위험”이라고 지은 보고서는 알리바바와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텐센트 등 대기업들이 일제히 핀테크 분야에 뛰어든 데 따르는 위험과 도전을 살폈다. BIS는 대기업들이 기존의 방대한 고객층을 활용해 이른바 ‘고객 데이터, 네트워크 효과, 행동(소비)’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고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며, 이들이 금융 분야를 지배할 만한 잠재력을 지녔다고 평가했다.



대형 테크기업들이 결제나 자금 관리, 보험, 대출 등 금융 업계에 진출한 건 얼마 되지 않은 일이지만, 이는 금융업 전체의 판도를 바꿔놓을 수 있는 변화라고 BIS는 설명했다. 대형 테크기업이 오히려 기존 은행과 금융기업은 잘 못하던 일을 할 수도 있다.




코인데스크

https://www.coindeskkorea.com/bisreportbigtech/?utm_source=blockchainhub&utm_medium=affiliate&utm_campaign=link&utm_content=article 

0 Comments
제목
FreeCurrencyRates.com
아래 코인은 가상매매하실 수 있습니다..